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bovie (보비) 전기소작기 수술기구 지혈기구 공부

by bookcheck01 2025. 4. 11.
반응형

보비(bovie)란?

보비는 전기소작기로 고주파 전류를 인체에 통과시켜 국소적으로 열을 발생하여

조직을 절제하거나 혈관을 지혈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수술기구입니다.

(1920년 윌리엄 보비(William Bovie)라는 사람이 인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과시키면 전기 충격이 아닌 열을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발겼했고 이 원리를 이용해 전기소작기(bovie)가 개발되고 실용화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어요.)


작동원리

bovie는 monopolar와 bipolar로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이때 mono는 한 개, bi는 두 개라는 의미가 담겨있는 접두사에요.


monopolar

 
 

모노폴라 보비는 한 개의 전극을 사용해요. (그래서 주로 볼펜 모양)

한 개의 전극(active electrode)에서 나온 전류가 환자의

몸을 통과해 plate(return electrode)로 흐르는 방식입니다.

하나의 전극(active electrode)에서 고주파 전류를 쏴주고

그것을 제대로 몸 밖으로 흘려보내지 못한다면

burn을 입을 수 있기에 plate라는 전기를 받아주는 패드(위 사진 종아리의 파란색 패드)를 사용하게 됩니다.

plate를 통해 전기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원리입니다.

monopolar는 높은 전압을 요구해 응고는 물론 절개까지 되는 모드입니다.


biporlar

바이폴라 보비는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1개 전극인 monopolar의 볼펜 모양과 다르게 집게 모양으로 되어있어요.

active electrode와 return electrode가 하나의 집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전류가 2개의 전극 조직에 국한되어 흐르기 때문에 환자의 몸을 통과하지 않아 plate가 필요없어요.

모노폴라보다 낮은 전압을 사용해 절개는 불가능하며 응고는 가능합니다.

그러나 모노폴라보다 응고를 위한 미세한 조작이 가능해 세밀한 수술에 사용하는 모드입니다.


기계 setting

 

 

CUT (노란색)

절개

COAG (파란색)

응고 (coagulant)

> 보통 setting 값은 30이지만 hip처럼 큰 부위를 수술할 경우 40까지 사용하기도 합니다.

 
 
 

monopolar mode를 사용할 경우 bovie plate를 부착하지 않거나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빨간 불이 들어오게 되고 올바르게 연결했을 경우 노란불이 들어오게 됩니다.

 

*plate는 기계에서 흘러나오는 고주파 전기를 인체에서 기계로 다시 흘려보내주는 역할이기 때문에 혹여나 burn이 생길 수 있어 근육이 많으며 깨끗하고 상처없는 곳에 붙여주셔야 합니다.

(위 사진에서는 허벅지 부위에 피부병변이 있어 피부가 고르지 못해 종아리에 붙여주었어요)

 

plate 붙이기 좋은 부위
plate 붙일 때 피할 부위
근육이 넓게 발달한 부위
수술 부위와 가까운 부위
혈관이 많이 지나가고,
볼록하고 둥근 면을 가진 부위
체모나 흉터 조직
상처가 난 부위
뼈가 튀어나온 부위
지방이 많은 부위
물이 고일만한 부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