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을사년의 해, 푸른 뱀의 해가 다가오고 있는데요 !
2025년 바뀌는 것들을 알아볼까요?
1. 최저임금 1만 원 달성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030원으로
2024년 최저임금은 시급 9,860원 대비 170원(1.7%) 인상되었다.
1주 소정근로 40시간 근무, 월 209시간 기준으로 월급은 2,096,270원이다.
이 최저임금은 사업의 종류별 구분 없이 전 사업장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2.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확대
현재까지는 지원 8구간까지의 대학생 중 성적 기준이 충족된 대학생에게만 지급하였던
국장을 2025년 1학기부터는 9구간 이하까지 확대하여 지급할 예정이다.
3. 육아휴직 연장 및 급여 인상
2024년에는 육아휴직이 최대 1년이었으나, 내년 2025년부터는 1년 6개월로 변경된다.
육아휴직 급여도 이전에는 통상임금의 80%(월 150만원 상한, 70만원 하한)로 최대 1,800만원이었으나
첫 1-3개월은 통상임금 100%로 월 최대 250만원,
4-6개월에는 통상임금 100%로 월 최대 200만원,
7-12개월 통상임금 80%로 월 최대 160만원으로 지원을 늘려
작년 최대 1,800만원에서 2,310만원까지 인상될 예정이다.
또한 배우자의 유급출산휴가도 기존 10일에서 20일로 연장되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글을 확인하세요.
육아휴직제도 신청방법 구비서류, 휴직기간 급여 등 정보
육아휴직제도란? 근로자가 최대 1년 6개월의 육아휴직을 사용하고,정부에서 임금의 일부를 받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육아휴직'과 '육아휴직 급여'에 관해서 나눠서 알아보겠습니다.
informanseo.com
2025년 바뀐 육아휴직제도 정리, 고용노동부
육아휴직제도란? 근로자가 최대 1년 6개월의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정부에서 임금의 일부를 받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임신중인 여성 근로자이거나,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
informanseo.com
4.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및 고교 내신제도 개편
이때까지는 초~고등학생들은 학교에서 짜준 시간표대로 수업을 들어야했지만 2025년부터는 고등학생도 대학생처럼 학생이 스스로 시간표를 짜서 원하는 과목을 들을 수 있게 바뀐다. 3년간 총 192학점을 이수할 경우 졸업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상대평가 9등급제인 내신은 절대평가(A~E등급)와 상대평가(1~5등급)가 병기되는 5등급제로 바뀔 예정이다. 평가 방식의 다각화를 통해 학생 부담을 완화하고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5.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시범 도입하며,
2027년 전면 도입 계획이다.
6. 청소년 인스타그램 계정 보호
인스타그램은 2025년부터 만 18세 미만의 청소년 계정을 대상으로 더욱 엄격히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한다. 기본적으로 비공개 계정으로 설정되며, 팔로워 요청과 DM을 승인해야만 가능하다. 사용 시간 제한 및 유해 콘텐츠 필터링도 강화된다.
7. 9급 공무원 시험 출제방식 변화
국어와 영어 과목의 기존 지식 암기 중심 출제에서
현장 직무중심의 출제방식으로 바뀐다.
8.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진입
2025년에는 한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일 경우 초고령사회로 분류되는데,
2024년 7월 대한민국의 고령인구는 1000만 62명으로 전체의 19.5%를 차지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5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3%로 전망된다.
9. 상속·증여세 부담 완화
2025년부터 상속·증여세 과세표준과 세율이 조정된다.
기존에는 1억원 이하 자산에 대해 10%, 30억원 초과 시 최대 50% 세율을 적용했다.
2025년부터 2억원 이하 10%, 10억원 초과 40%로 변경된다.
자녀공제 한도도 기존 5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대폭 상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