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불 tvN 드라마 원경 뜻, 출연진, 등장인물, 1화 내용 소개 드라마 추천

by bookcheck01 2025. 1. 7.
반응형

 

 


원경 간단 소개




몇 부작

12부작

방영

두 곳에서 방영됩니다

 

1) TVING OTT (월) 오후 02:00 (한번에 2회차 공개)

2) TV 방영 tvN 월, 화 오후 08:50

* tvN TV방영 전 티빙 OTT에서 선공개를 한다고 한다.
근데 이제 티빙 OTT에서 방영되는 건 청소년관람불가고 
 tvN에서 방영되는 건 만 15세 연령가라고..
TV로 방영되는 것은 노출장면이 많이 편집된 것이란다. 티빙에서는 무편집본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줄거리

남편 태종 이방원과 함께 권력을 쟁취한 원경왕후. 왕과 왕비, 남편과 아내, 그 사이 감춰진 뜨거운 이야기

 

 

 

 

 


원경 뜻?


처음엔 원경이 뭔가 뜻이 있나 싶었는데, 단순히 이름이다.

조선의 3대 국왕 태종 이방원의 처의 이름인 '원경'이었다.

 

 

 


출연진 : 차주영, 이현욱, 이이담, 이시아


출처 티빙

원경왕후(배우 차주영)

고려 재상지종 15개 가문 중의 하나인 여흥 민씨 민제의 딸로 태어났다. 아름답고 총명하며 자존감, 자의식이 강한 주체적 여성이다. 왕이 된 방원과 끊임없는 갈등을 겪지만, 단 한 번도 타협하거나 꺾이지 않는다. 뛰어난 정치 감각을 갖고 있으며, 이후 태종 이방원이 왕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에서 큰 결단을 내려, 그가 조선의 기틀을 다지도록 돕는다.

 

태종 이방원(배우 이현욱)

왕이 되는 과정에서 부인과 처가의 도움을 받았고, 그로 인한 부채 의식이 있다. 그러나 그것에 지배당하지 않으려 한다. 한 가문의 영광과 득세를 위해 왕이 된 것이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강력한 힘을 가진 국가, 조선! 그것은 아버지 이성계의 염원이었고, 자신의 소명이었다. 그로 인해 사랑하는 여자와 처가를 파괴하는 아이러니에 직면하지만, 역사라는 이름으로 그 길을 간다.

 

태조 이성계(배우 이성민)

무인 출신의 혁명가. 수많은 전장을 누비며, 헐벗고 굶주려 죽어가는 백성들을 보며, 세상을 구할 뜻을 세우고 화가위국(化家爲國)의 위업을 달성한다. 그가 한양으로 도읍을 정한 것은 개경을 기반으로 고려시대부터 얽히고설킨 기득권들을 끊어내는, 가장 명확하고 빠른 방법이라 믿어서였다. 혁명의 완성을 위해서는 누대에 이어져 온 권문세족을 끊어내야 하고, 그 앞자리에 민씨 집안이 있다는 현실을 각인시키며, 방원에게 딜레마를 준다.

 

특별출연느낌으로 태조 이성계를 배우 이성민이 연기를 한다고 하네요. 특별출연이니만큼 뒤에는 비중이 적어진다고..!

 

후궁 채령(배우 이이담)

원경의 본방나인 출신의 후궁으로, 원경을 인생의 롤모델로 삼고 있다. 그러나 방원의 선택을 받으면서, 때론 원경을 배신하고, 때론 방원을 이용하면서, 두 사람 사이에서 아슬아슬 줄타기를 하며 자신의 영역과 입지를 넓혀 나간다. 어떤 의미로 원경보다 방원을... 다른 의미로는 남자를 다룰 줄 아는, 현명과 영악 그 어디 즈음에 서 있는 여인.

 

후궁 영실(배우 이이서)

잠저 시절, 가노로 있으면서 방원의 아이를 임신한 채 종적을 감추었다. 원래는 원경의 시어머니인 신덕왕후 강씨의 종이었으나, 모진 학대를 당하던 중, 원경에게 구출되어 원경의 종이 되었다. 길을 지나가면 사람들이 돌아볼 만큼 절색으로, 방원이 왕이 된 이후 입궁하지만, 지혜롭지 못한 처신 탓에 결국은 버림받는다.

 

 


첫 1화 내용


첫 1화가 이성계(이성민배우)의 연기가 몰아치면서 전개도 빠르고 노출장면도 꽤 있어서 재밌대요...

저도 적다가 보고싶다고 생각했어요..

(노출장면은 당연히 청소년관람불가로 방영되는 TVING에서만 나옵니다.)

 

출처 티빙 예고편

드라마의 첫 시작은

왕과 왕비가 된 원경과 이방원의 화려하고 웅장한 즉위식으로 시작하는데요.

 

남편 방원의 곁에서 원경은 “오늘 밤 역사는 분명 우리 편”이라며 갑옷을 입혀주며

 

왕권을 이뤄낸 둘은 “모든 것을 함께 나누자”고 약속했고, 뜨겁게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나옵니다.

 

출처 티빙 예고편

그러나 문제가 터집니다.

원경은 고려 말기의 실질적인 지배층이라고 할 수 있는 권문세족 여흥 민씨가문의 딸이었습니다.

 

반면 이방원의 집안은 학문이 부족해 멸시를 받은 무관집안이었는데요.

 

그래서인지 궐내엔 처가 민씨와 함께 이룬 공동정권이란 뒷말이 돌았고,

 

신하들은 “천하를 발 아래 두셨다”, 원경의 동생들은 방원을 앞에 두고 “중전께서 사내로 나셨으면 임금님이 되셨을 것”이라는 말을 서슴지 않았습니다. 

 

 

 

출처 티빙 예고편

 

이렇게 내적갈등이 심해져갈 때, 방원에게 결정적인 사건이 하나 일어나요.

 

위에서 말했듯이 태종 이방원의 집안은 무관집안으로 멸시를 받았다고 했으나,

이방원은 과거에 급제합니다.

 

이성계는 “내 뜻을 이뤄줄 이는 너 방원”이라며 힘차게 안아주기까지 하죠.

 

출처 티빙 예고편

방원은 심야에 한 복면을 쓴 사내에게 습격을 당하는데요.

 

그 사람은 바로 아버지 이성계의 심복인 원범(박기덕)이었습니다.

 

이성계가 더 이상 자신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게다가 죽이려고 까지 한다는 사실에 많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출처 티빙 예고편

방원의 이 모든 두려움, 분노, 원망의 감정은 원경을 향했습니다.

 

그래서 잠저 시절 자신의 아들을 낳아 키우던 영실(이시아)에 대해 궁으로 들이라 명을 내립니다..

 

 

 

방원을 왕으로 만든 원경은 이렇듯 배신을 당하고 후궁까지 들여진 상황에서 어떻게 해결해나갈지 기대가 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