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생물검사 culture 뜻, 항생제 종류 및 기전 정리

by bookcheck01 2025. 1. 21.
반응형

 

 

미생물 검사

1. culture (배양검사)

배양 균의 종류와 항생제 민감도를 알 수 있음. 균을 배양하기까지 72시간정도의 시간이 걸림.

2. gram stain(그람염색)

그람음성균, 그람양성균을 구별하는 검사.

빠르면 3-4시간, 하루안에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culture검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경험적인 항생제를 선택하는데 이용하거나,

객담검사에서 culture검사와 비교해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그람음성균은 세포벽의 peptidoglycan이 얇아 핑크색으로 염색되고, 그람양성균은 세포벽의 peptidoglycan이 두꺼워 보라색으로 염색된다.

 

 

항생제 사용분류

1. Prophylactic antibiotics (예방적 항생제)

:세균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방목적으로 사용되는 Anti

ex) Pre OP antibiotics

 

2. Empirical antibiotics (경험적 항생제)

: empirical anti 는 감염 부위와 원인균주 및 내성 양상을 추정하여 사용해야하므로 환자 screening 에 있어 매우 꼼꼼히 진행해야한다.

+ 임상적 경험 많이 필요

 

3. Selective antibiotics (선택적 항생제)

: Culture를 통해 원인 균주가 동정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항생제

항생제 작용 기전

 

1. 세포벽 합성 억제

: 인간의 세포에는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세포벽을 공격하면 세균만 선택적 공격 가능

β-lactam 항생제
​Penicillin계 항생제
cephalosporin계 항생제
carbapenem항생제
페니실린
아목시실린
피페라실린
아목시실린, 클라불란산
암피실린, 설박탐
피페라실린, 타조박탐
세파졸린, 세팔렉신, 세파클러, 세프메타졸, 세포티암, 세푸록심, 세포탁심, 세프트리악손, 세프탄지딤, 세페핌
이미페넴/실라 스타틴
메로페넴
도리페넴
에르타페넴
glycopeptide 힝생제
vancomycin, telcoplanin

2. 단백질 합성 억제

: 세포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생존에 필요한 단백질이 세포질 내에서 합성되어야 한다.

세균과 인체는 Ribosome 구성이 달라 세균의 Ribosome만을 억제함으로써 향균작용을 한다.

ex) *30S 리보솜 억제 : aminoglycoside, tetracycline, glycylcycline

*50S 리보솜 억제 : macrolide, lincosamide, streptogramine, chloramphenicol, oxazolidinone

 

3. Folate 합성 억제

: Sulfonamide -> Dihydropteroate synthase, DHPS 억제.

 

Trimethoprim -> sulfonamide 가 억제하는 다음단계 효소(dihydrofolate reductase) 를 억제

> 위 두가지 약물은 함께 사용했을 때 시너지(+)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MP/SMX) 복합제로 주로 사용됨

 

 

4. DNA 합성 억제

: Quinolone 이 대표적

> DNA 합성에 관여하는 두 효소에 억제

 

 

5. RNA 합성 억제

: Rifamycin 계열의 Anti가 대표적

> 세균의 RNA 중합효소 억제 -> 세균의 DNA-의존RNA 합성 과정 방해

 

 

6. 핵산 억제

: Metronidazole 이 대표적

>혐기성 환경 내에서 나온 Metronidazole 의 질소군이 환원되어 나온 중간대사물이 미생물의 DNA 손상시킴

 

 

7. 세포막 파괴

: Polymyxin 이나 lipopeptide와 같은 Anti가 대표적.

> polymyxin : LPS(lipopolysaccharide) 에 결합 -> 세포막 파괴

> Lipopeptide : 세포막에 결합하여 모양 변형 -> Cell 내의 이온이 나가는 구멍 생성 -> Cell의 급격한 탈분극(depolarization) 유발하여 Cell 파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