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노트북 간 파일 옮기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번에 노트북을 바꾸게 돼서 파일을 옮겼는데요
아무런 준비물 없이 노트북 대 노트북으로 파일을 옮기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노트북에서 노트북으로 자료를 옮길 경우
USB를 사용하거나 cloud를 이용해 옮기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실 텐데요.
지금 알려드릴 방법은 무선연결 방식입니다.
준비
1. PC : 기존에 사용하던 메인노트북, 새로 장만한 새 노트북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둘 다 가능)
2. 2개의 PC에서 똑같은 Wifi 연결 필요
1. 기존 사용하던 메인 노트북의 로그인 암호 설정 (미리 되어 있을 시 건너뛰셔도 무방합니다.)
시작버튼에 '비밀번호 변경'을 검색 후 비밀번호를 설정해 줍니다.
이때의 비밀번호와 사용자 이름이 이후에 필요하니 기억해주세요.
2. 메인 노트북과 새 노트북의 방화벽 해제 (두 노트북 모두 해제해주세요)
시작 검색창에 '방화벽 및 네트워크 보호'를 검색해 개인 네트워크와 공용 네트워크의 방화벽을 꺼줍니다.
(파일 옮기기가 끝난 후 다시 켜주시면 됩니다.)
3. 메인 노트북의 IP주소 확인
시작 검색창에 'cmd' 혹은 '명령 프롬프트'를 검색해 해당 앱을 실행해주세요.
실행하면 왼쪽 화면과 같이 뜰 텐데, ipconfig 라고 적고 enter를 눌러줍니다.
그럼 이렇게 내 IP주소가 뜨게 됩니다. IPv4 주소에 있는 숫자가 IP주소입니다. 저장해둡니다.
4. 메인 노트북 새 파일 만들기
바탕화면 우클릭해서 새 파일을 만들어준 후(파일명은 상관없습니다)
새 파일을 또 우클릭하여 속성에 들어가 줍니다.
속성에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뜰겁니다.
공유 페이지에 들어가 고급공유 클릭
선택한 폴더 공유의 체크표시를 눌러주시고 권한을 눌러주세요
3번째 사진처럼 모든권한에 체크표시해주고 확인눌러주면 완성입니다.
5. 두 노트북 전원 '다시 시작'
위에 순서까지 다 했다면 방화벽을 해제한 것을 실행하기 위해 두 노트북 모두 '다시 시작'해줍니다.
6. 새 노트북 전원 킨 후 '윈도우 + R'
윈도우 + R키 단축키를 누르면 위 사진처럼 화면이 뜹니다.
₩ ₩ 원화 기호
를 두번 쳐주고 메인 노트북에서 찾았던 IP주소를 입력해준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확인을 누르면
7. '네트워크 자격 증명' 입력창 사용자 이름, 암호 입력
네트워크 자격 증명 입력창이 뜰텐데
기존의 메인 노트북의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적으라는 칸이 나올 겁니다.
적어주고 확인을 누르면 메인 노트북에서 만들었던 파일의 창이 뜨게 되면서 복사 붙여넣기 할 수 있습니다.
+ 파일을 다 옮기셨다면 해제했던 방화벽은 다시 켜주세요.
오늘은 간단히 노트북 간, PC 간 파일 옮기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아무런 장치 필요없이 옮길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인 것 같네요!